트로트, 주류로 올라서다
트로트는 5060 세대의 전유물이었지만 최근 젊은층에게도 크게 어필하고 있다. 임영웅, 송가인을 필두로 김호중, 이찬원, 양지은, 홍지윤 등 젊은 트로트 가수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트로트의 인기는 특정 세대와 매니아층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유행을 이끄는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어딜가나 트로트를 쉽게 들을 수 있고 소위 말하는 '뽕끼'가 넘치는 곡부터 애절한 '꺾기'까지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보통 트로트를 두고 전통가요라고 한다. 우리의 전통 음악은 국악이다. 그럼 전통음악과 전통가요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전통가요라 불리는 트로트는 서구 음악의 영향으로 시작 되었고, 여기에 국악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현대의 트로트로 해석되고 있다.
그래서 국악인 출신들이 <미스터 트롯> <미스 트롯>에서 큰 활약을 보이고 있다. <미스 트롯 1> 우승자 송가인, <미스 트롯 2> 우승자 양지은 모두 국악계에서 내로라하던 인재였다.
트로트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성과도 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트로트를 주제로 석사, 박사 학위논문을 작성한 연구자를 리스트업 한다.
1. 트로트를 주제로 한 석사학위 논문 리스트
- 안차수, 1993, 「문화취향의 사회적 평가에 대한 연구 : '트롯가요(뽕짝)'의 가치 재평가와 계급의 문화실천에 대한 탐구」, 서강대학교 대학원(신문방송학).
- 최정은, 1993, 「우리 대중가요의 전통성에 대한 고찰 : 트로트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음악교육).
- 김경희, 1995, 「트로트 뮤지컬에 관한 고찰 : 김상렬의 뮤지컬 <홍도야 울지 마라>를 중심으로」,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작곡학).
- 하춘화, 2000, 「한국가요의 원류와 변천에 관한 연구 : 신민요와 트로트 가요 비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공연예술).
- 전혜정, 2002, 「한국 대중가요의 음악적 양상 : 트로트계열 가요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한국음악).
- 김우열, 2007, 「트로트의 향수양상과 애창곡 주제연구」,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국어교육).
- 김대환, 2010, 「트로트음악과 선거의 연관관계 : 선거 로고송으로 트로트가 선호되는 요소분석」, 상명대학교 대학원(뉴미디어음악).
- 전수경, 2011, 「트롯음악과 구령에 의한 탄성밴드 운동이 경로당 여성 고령자의 기능적 체력·삶의 질 및 운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체육교육).
- 박정희, 2013, 「독거노인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트로트와 민요를 이용한 노래회상 음악치료의 비교 연구」,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음악치료).
- 정범희, 2015, 「가수 이미자의 트로트 창법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음악학).
- 김희선, 2016, 「2010년 이후 한국 트로트의 음악적 변화 및 수요층 증가요인에 관한 고찰 : 이전(1930-2000년대) 트로트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퍼포밍아트).
- 오명규, 2017, 「트로트 노래 부르기가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 개선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보건학).
- 손연성, 2017, 「손연성 작편곡의 트로트 대중가요 <오늘이 젊은날> 작품 분석」,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실용음악).
- 이제이, 2017, 「트로트 음악시장에서 활동하는 아이돌 출신 가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대중음악).
- 김효원, 2017, 「남성 트로트 가수의 창법에 관한 연구 : 현철, 송대관, 태진아, 설운도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대중음악).
- 오연경, 2019, 「만요와 현대 트로트 가요의 해학성에 대한 비교 고찰 : 일제강점기 만요와 2000년대 트로트 가요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실용음악).
- 장춘화, 2019, 「한국 트로트 가요의 중국어 번역시탐」,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중한번역).
- 장미현, 2020, 「2000년대 이후 트로트 가사에 나타난 호칭·지칭어 표현의 변화양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실용음악).
- 최경준, 2020, 「트로트 소재 오디션 프로그램의 설계를 위한 기획 요소 분석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문화콘텐츠).
- 김기영, 2020, 「트로트 노랫말의 변화 특성 연구 : 2004~2019년 중심어와 주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공연행정).
- 노기상, 2020, 「한국 트로트의 음악적 특징 분석 및 현황」,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실용음악).
- 전희령, 2020, 「1980년대 중반 이후 트로트의 음악적 변화 양상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실용음악).
- 정진희, 2021, 「트로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이주 노동자르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한국어교육).
- 박정수, 2021, 「여성 가수를 통해 본 한국 트로트의 변천 양상 : 이미자·주현미·장윤정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대중음악).
- 이성혁, 2021, 「타 장르와 콜라보레이션 된 현대 트로트의 양상 : 일렉트로닉 음악과 결합 된 트로트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뉴미디어음악).
- 권지훈, 2021,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전략 변화 : 내일은 미스트롯 / 미스터트롯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고전문학).
- 신가령, 2021, 「트로트 팬덤의 세대적 확장 요인에 관한 연구 : 2019년 이후 트로트의 대중화 양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실용음악).
- 이연경, 2022, 「한국 사회의 트로트 음악에 대한 이슈 변화분석 : 1990~2021년 뉴스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실용음악).
- 이우동, 2022, 「대중음악 취향에 대한 20대와 50대 구성원들 간 상호인식 차이 : 힙합, K팝, 트로트 장르의 비교」, 한양대학교 대학원(신문방송학).
- 박영금, 2022, 「한국 민요와 엔카·트로트의 음악 양식 연구 : 트로트, 한국 고유의 음악 양식인가?」, 한국예술종합학교(작곡).
- 권도희, 2022, 「트로트와 컨트리뮤직을 활용한 감상 수업지도안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음악교육).
2. 트로트를 주제로 한 박사학위 논문 리스트
- 김현옥, 2012, 「2000년대 대중가요의 새로운 경향과 한국인의 보편적 감성에 관한 연구 : 트로트 음악」,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동양철학).
- 오연경, 2022, 「현대 트로트 작품의 해학적 특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글로벌 언어·문화협동).
학위논문으로 본 트로트 연구 경향
트로트를 주제로 쓴 석사, 박사 학위논문은 약 30여 편이다. riss.kr에서 '트로트' '트롯'으로 검색 후 정리한 자료들이다. 이외에도 대중음악, 음악치료, 음악사를 다루는 학위 논문에서 트로트를 연구하거나 언급한 논문도 있다. 본 글에서 다루는 논문들은 제목에 '트로트' '트롯'이 포함된 연구물들이다.
연도별로 보면 트로트 연구는 1990년대 초반에 처음 학위 논문에 등장한다. 트로트의 원류를 찾거나 타 장르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논문이 주류를 이룬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 트로트의 활용 범위가 넓어짐을 알 수 있다. 트로트와 선거의 연관관계를 연구한 논문이 인상적인데, 선거송으로 트로트가 자주 불려지기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 음악치료와 트로트 본질에 대한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독거노인 및 운동 효과에 미치는 연구가 있는가 하면, 트로트 창법과 아이돌의 관계를 다루는 연구도 있다.
2020년은 트로트 연구의 중요한 분기점이다. 2010년대 학위 논문이 10여 편이 나왔다면, 2020년(~2022년까지) 이후 3년 동안 역시나 10여 편이 세상에 나왔다.
2010년부터 약 10년간 10여 편의 학위논문이 나왔는데, 2020년부터 3년 동안 10여 편이 나왔으니 짧은 기간에 연구성과가 크게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연구성과의 증가는 미스트롯, 미스터트롯의 등장이 큰 기여를 했다. 그 이전에도 트로트엑스와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미스트롯, 미스터트롯만큼의 파급력은 얻지 못했다.
진을 차지한 임영웅, 송가인, 양지은은 국내 탑가수의 지위를 확보하며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x
트로트, 주류로 올라서다
트로트는 5060 세대의 전유물이었지만 최근 젊은층에게도 크게 어필하고 있다. 임영웅, 송가인을 필두로 김호중, 이찬원, 양지은, 홍지윤 등 젊은 트로트 가수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트로트의 인기는 특정 세대와 매니아층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유행을 이끄는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어딜가나 트로트를 쉽게 들을 수 있고 소위 말하는 '뽕끼'가 넘치는 곡부터 애절한 '꺾기'까지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보통 트로트를 두고 전통가요라고 한다. 우리의 전통 음악은 국악이다. 그럼 전통음악과 전통가요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전통가요라 불리는 트로트는 서구 음악의 영향으로 시작 되었고, 여기에 국악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현대의 트로트로 해석되고 있다.
그래서 국악인 출신들이 <미스터 트롯> <미스 트롯>에서 큰 활약을 보이고 있다. <미스 트롯 1> 우승자 송가인, <미스 트롯 2> 우승자 양지은 모두 국악계에서 내로라하던 인재였다.
트로트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성과도 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트로트를 주제로 석사, 박사 학위논문을 작성한 연구자를 리스트업 한다.
1. 트로트를 주제로 한 석사학위 논문 리스트
- 안차수, 1993, 「문화취향의 사회적 평가에 대한 연구 : '트롯가요(뽕짝)'의 가치 재평가와 계급의 문화실천에 대한 탐구」, 서강대학교 대학원(신문방송학).
- 최정은, 1993, 「우리 대중가요의 전통성에 대한 고찰 : 트로트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음악교육).
- 김경희, 1995, 「트로트 뮤지컬에 관한 고찰 : 김상렬의 뮤지컬 <홍도야 울지 마라>를 중심으로」,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작곡학).
- 하춘화, 2000, 「한국가요의 원류와 변천에 관한 연구 : 신민요와 트로트 가요 비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공연예술).
- 전혜정, 2002, 「한국 대중가요의 음악적 양상 : 트로트계열 가요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한국음악).
- 김우열, 2007, 「트로트의 향수양상과 애창곡 주제연구」,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국어교육).
- 김대환, 2010, 「트로트음악과 선거의 연관관계 : 선거 로고송으로 트로트가 선호되는 요소분석」, 상명대학교 대학원(뉴미디어음악).
- 전수경, 2011, 「트롯음악과 구령에 의한 탄성밴드 운동이 경로당 여성 고령자의 기능적 체력·삶의 질 및 운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체육교육).
- 박정희, 2013, 「독거노인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트로트와 민요를 이용한 노래회상 음악치료의 비교 연구」,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음악치료).
- 정범희, 2015, 「가수 이미자의 트로트 창법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음악학).
- 김희선, 2016, 「2010년 이후 한국 트로트의 음악적 변화 및 수요층 증가요인에 관한 고찰 : 이전(1930-2000년대) 트로트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퍼포밍아트).
- 오명규, 2017, 「트로트 노래 부르기가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 개선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보건학).
- 손연성, 2017, 「손연성 작편곡의 트로트 대중가요 <오늘이 젊은날> 작품 분석」,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실용음악).
- 이제이, 2017, 「트로트 음악시장에서 활동하는 아이돌 출신 가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대중음악).
- 김효원, 2017, 「남성 트로트 가수의 창법에 관한 연구 : 현철, 송대관, 태진아, 설운도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대중음악).
- 오연경, 2019, 「만요와 현대 트로트 가요의 해학성에 대한 비교 고찰 : 일제강점기 만요와 2000년대 트로트 가요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실용음악).
- 장춘화, 2019, 「한국 트로트 가요의 중국어 번역시탐」,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중한번역).
- 장미현, 2020, 「2000년대 이후 트로트 가사에 나타난 호칭·지칭어 표현의 변화양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실용음악).
- 최경준, 2020, 「트로트 소재 오디션 프로그램의 설계를 위한 기획 요소 분석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문화콘텐츠).
- 김기영, 2020, 「트로트 노랫말의 변화 특성 연구 : 2004~2019년 중심어와 주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공연행정).
- 노기상, 2020, 「한국 트로트의 음악적 특징 분석 및 현황」,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실용음악).
- 전희령, 2020, 「1980년대 중반 이후 트로트의 음악적 변화 양상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실용음악).
- 정진희, 2021, 「트로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이주 노동자르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한국어교육).
- 박정수, 2021, 「여성 가수를 통해 본 한국 트로트의 변천 양상 : 이미자·주현미·장윤정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대중음악).
- 이성혁, 2021, 「타 장르와 콜라보레이션 된 현대 트로트의 양상 : 일렉트로닉 음악과 결합 된 트로트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뉴미디어음악).
- 권지훈, 2021,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전략 변화 : 내일은 미스트롯 / 미스터트롯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고전문학).
- 신가령, 2021, 「트로트 팬덤의 세대적 확장 요인에 관한 연구 : 2019년 이후 트로트의 대중화 양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실용음악).
- 이연경, 2022, 「한국 사회의 트로트 음악에 대한 이슈 변화분석 : 1990~2021년 뉴스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실용음악).
- 이우동, 2022, 「대중음악 취향에 대한 20대와 50대 구성원들 간 상호인식 차이 : 힙합, K팝, 트로트 장르의 비교」, 한양대학교 대학원(신문방송학).
- 박영금, 2022, 「한국 민요와 엔카·트로트의 음악 양식 연구 : 트로트, 한국 고유의 음악 양식인가?」, 한국예술종합학교(작곡).
- 권도희, 2022, 「트로트와 컨트리뮤직을 활용한 감상 수업지도안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음악교육).
2. 트로트를 주제로 한 박사학위 논문 리스트
- 김현옥, 2012, 「2000년대 대중가요의 새로운 경향과 한국인의 보편적 감성에 관한 연구 : 트로트 음악」,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동양철학).
- 오연경, 2022, 「현대 트로트 작품의 해학적 특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글로벌 언어·문화협동).
학위논문으로 본 트로트 연구 경향
트로트를 주제로 쓴 석사, 박사 학위논문은 약 30여 편이다. riss.kr에서 '트로트' '트롯'으로 검색 후 정리한 자료들이다. 이외에도 대중음악, 음악치료, 음악사를 다루는 학위 논문에서 트로트를 연구하거나 언급한 논문도 있다. 본 글에서 다루는 논문들은 제목에 '트로트' '트롯'이 포함된 연구물들이다.
연도별로 보면 트로트 연구는 1990년대 초반에 처음 학위 논문에 등장한다. 트로트의 원류를 찾거나 타 장르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논문이 주류를 이룬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 트로트의 활용 범위가 넓어짐을 알 수 있다. 트로트와 선거의 연관관계를 연구한 논문이 인상적인데, 선거송으로 트로트가 자주 불려지기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 음악치료와 트로트 본질에 대한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독거노인 및 운동 효과에 미치는 연구가 있는가 하면, 트로트 창법과 아이돌의 관계를 다루는 연구도 있다.
2020년은 트로트 연구의 중요한 분기점이다. 2010년대 학위 논문이 10여 편이 나왔다면, 2020년(~2022년까지) 이후 3년 동안 역시나 10여 편이 세상에 나왔다.
2010년부터 약 10년간 10여 편의 학위논문이 나왔는데, 2020년부터 3년 동안 10여 편이 나왔으니 짧은 기간에 연구성과가 크게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연구성과의 증가는 미스트롯, 미스터트롯의 등장이 큰 기여를 했다. 그 이전에도 트로트엑스와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미스트롯, 미스터트롯만큼의 파급력은 얻지 못했다.
진을 차지한 임영웅, 송가인, 양지은은 국내 탑가수의 지위를 확보하며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Tags:
트로트역사